기저귀 발진은 영유에게 흔한 피부병입니다. 증상으로 붉은 반점 등이 생식기 부분과 아이의 엉덩이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진이 아이의 다리와 배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기저귀 발진은 따뜻하고 습한 곳에서 자라기 대문에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딱 좋은 환경입니다. 지저귀 발진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너무 꽉 끼는 기저긔. 예민한 피부. 자극성 피부, 항생제등이 있는데 다행히 가벼운 기저귀 발진은 집에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기저귀 발진을 완화하기 위한 팁
첫번째로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 주는 겁입니다. 발진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치는 아기의 기저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기저귀를 갈 때는 부드러운 천으로 주변을 부드럽게 닦아 줍니다. 물티슈도 괜찮으며 피부를 너무 세게 문지를지 말고 알코올로 닦지면 안됩니다. 그리고 기저귀 없이 시간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로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는 겁니다. 아이의 기저귀는 가능한 한 빨리 갈아 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피부에 자극을 주고 발진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약간의 수분만 있어도 생기기 때문에 아이의 기저귀 발진이 생긴다면 약간 젖은 기저귀도 즉시 교환해줍니다. 셋째로 일회용 기저귀로 바꾸는 겁니다. 천 기저귀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기저귀 발진이 생겼을 때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기저귀 발진이 나을 때까지 흡수성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로 바꾸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우리 아이의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주고 더 빠른 치유를 촉진시켜줍니다. 넷째로 기저귀 사이즈가 우리 아이에게 맞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사이즈를 잘못 착용하면 기저귀 발진이 생길 확률이 높아지고 활동성 발진이 낫기 어렵습니다. 너무 꽉 끼는 기저긔는 수분이 더 많아지고 발진이 더 빨리 생깁니다. 기저귀가 너무 크면 마찰이 생겨 발진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진정 그림을 바르는 겁니다. 아연이 함유 된 페이스트나 배리어 크림을 사용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대변이나 다른 자극성 물질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피부에 대변이나 소변이 닿지 않도록 얇게 발라줍니다. 바셀린과 같은 젤리는 가격이 저렴하고 보통 염료나 향수를 적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상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젤리 타입은 천기저귀에 달라붙어 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해야 할 것으로 섬유 유연제 및 건조 시트 등 향기가 강한 제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 알레르기성과 무향 기는 아기들에게 훨씬 덜 자극적입니다. 그리고 아기에게 베이비파우더를 사용하는 것도 자제해야 합니다. 아기들은 숨을 들이 마실수 있고 폐에 해를 끼칠 수 있게 때문에 아기들에게는 금지입니다.
기저귀 발진의 원인과 위험요인
기저귀 발진은 습기와 마찰이 아이의 피부를 자극하기때문에 발생합니다. 기저긔에 묻은 소변이나 대변이 피부를 붉게 물들 이때 자주 발생합니다. 하지만 유일한 원인은 아닙니다. 기타 원인으로는 문지르고 벗겨지고 자극을 일으키는 기저귀와 세탁세제와 거품목욕, 물티슈 또는 자녀의 파부에 닿는 다른 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항생제에 대한 반응 등이 있다. 기저귀 발진은 흔하고 기저귀를 찬 모든 아이들에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몇 위험 요소들은 아이가 기저귀 발진이 생길 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그리고 기저귀 발진이 아픈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아이를 괴롭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발진이 감염되는 경우는 예외입니다. 감염된 기저귀 발진의 증상으로는 기저귀 부위의 물집과 열, 빨갛게 부풀어지는 현상, 기저귀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고름과 치료 후에도 낫지 않거나 악화되기 시작하는 발진이 있는데 칸디다증이라고 불리는 2차 곰팡이 또는 효모 감염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주름에 나타나기도 하고 배나 허벅지의 기저귀 부위 바깥쪽에 붉은 발진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위성 병변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증상을 발견하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는 게 좋습니다. 아기가 기저귀에 곰팡이 발진이 생겼다고 생각되면 의사 선생님은 항진균 크림을 처방해 주실 겁니다. 기저귀 발진으로 인해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가라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ADHD 증상과 징후 (0) | 2022.12.24 |
---|---|
아기 폐렴에 걸렸을때 대처 (1) | 2022.12.23 |
잠을 푹 잘 수 있게, 수면 교육 (0) | 2022.12.21 |
계절마다 찾아 오는 나쁜녀석 비염 (0) | 2022.12.19 |
커피효능과 부작용 건강하게 마시는 방법까지 (0) | 2022.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