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이야기

수라의 서 협객 백동수 정보 정리

by 퍼주는남자 2022. 8. 25.
반응형

수라의 서 협객 백동수 정보 정리

백동수는 영조 이금, 정조 이산 시절의 무인이다. 그는 정조 이산의 명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군사 훈련 교재용 무예서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했다.

"백동수는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충장공 백시구의 증손이자 백상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백사굉이다. 이덕무의 처남이기도 하다. 조부인 백상화가 서자였기에 신분상으로 서자에 속한다."

"

1743년에 태어난 백동수는 ‘검선’이라 불리던 김체건의 아들 김광택에게 조선검법을 전수받는 한편, 도가적 전통 단학으로 내공을 쌓고 만약의 부상에 대비해 의술까지 익혔다. 이처럼 그는 청년 시절에는 학문을 멀리하고 무협의 세계에 깊이 빠져들어 주위의 우려를 사기도 했다. 다행히도 그의 주위에는 연암 박지원, 이덕무 같은 좋은 친구들이 있었다."

"

1771년(영조 47) 신묘 식년시 병과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었으나 서자라는 신분상의 한계와 숙종 시대 이후부터 시행되는 만과로 인해 관직 수가 턱없이 부족해 벼슬을 얻지 못했다. 1773년, 가난을 이유로 식솔들과 함께 미련 없이 한성을 떠나 강원도 기린협으로 들어가 직접 농사를 짓고 목축도 하면서 세월을 보냈다."

"

이렇게 10여 년간 낙백의 시절을 보내다가 1776년(정조 즉위년) 정조가 친위 군영인 장용영을 조직하면서 서자 무사들을 등용할 때 창검의 일인자로 추천받았고, 1787년(정조 11) 집춘영 초관을 거쳐 1788년(정조 12) 어영청 초관을 역임하였다."

"

1789년(정조 13) 분수문장에 제수되고, 장용영 초관을 지내고, 이듬해 4월 새로운 무예서를 편찬하라는 정조의 명에 따라 검서관이었던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했다."

"

1790년 부사직에 단부되었고, 그해 6월 3일 훈련주부에 제수되었다. 1791년 훈련판관에 제수되었고, 1792년 충청도 비인현감을 지냈다.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 환갑 탄신 진찬 때 훈련첨정으로 가설되었다. 1796년(정조 20) 장흥고주부를 거쳐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겸 파총을 역임했다."

"

1810년에 중용되어 군기부정에 제수되었으나, 1816년 7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금산파-백동수

속성:음

무림절학

[탕진중마]

밀종이 법상의 힘을 시전해 전체 범위의 적군에게 공격력 200%의 피해를 입히고 2초간 기절시킨다. 모든 아군 협객에게 5초간 지속되는 “법상” 효과를 부여하며, “법상” 효과를 보유한 아군 협객은 입히는 피해가 15% 증가한다.

[능절검식]

밀종이 처음 사망하면 10초간 전장을 이탈하며, 이후 생명을 100% 회복한 상태로 전장으로 돌아와 “열반” 상태에 진입한다. 해당 상태 시 밀종의 공격, 방어, 생명치가 35%, 공격속도가 70 증가하며, 전투 종료 시까지 지속된다. 아군 협객이 모두 사망한 경우, 밀종이 즉시 전장으로 돌아온다.

[봉산낙일]

밀종이 현재 생명치의 10%를 소모해 적군이 가장 밀집한 구역에 항마저를 떨어뜨려 적군에게 공격력 160%의 범위 피해를 입힌다. 스킬 시전 시 밀종이 “열반” 상태이면 해당 스킬 시전 시 생명치를 소모하지 않는다.

[군자전설]

방어력이 가장 높은 아군 협객에게 8초간 지속되는 방패를 생성하며, 방패 지속 중 밀종이 대상이 받는 피해의 50%를 분담한다. 스킬 시전 시 밀종이 “열반” 상태이면 스킬 효과가 자신과 방어력이 가장 높은 아군 협객에게 모두 방패를 생성하는 것으로 전환되며, 공격력 200%의 피해를 저항한다.

진형추천

금산파는 피해 저항 능력이 탁월하고 공격력도 뛰어난 편이라, 막강한 공격 능력을 갖춘 부대원과 함께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천 진형1

전열: 금산파(음), 천하회(음)

후열: 천사문(금), 절장문(금), 육선문(금)

절장문과 육선문 2명의 궁수로 강력한 주력 협객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육선문은 꽤 강력한 광역 공격 능력을 갖췄고 절장문은 높은 단일 공격 능력이 있으며, 금산파와 천하회는 전열에서 피해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금산파가 적군의 생명력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군의 주력 공격 협객을 순식간에 처치할 수 있고 적군 후열을 파괴하며 전열을 견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천사문은 주력 협객의 발동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추천 진형2

전열: 금산파(음), 천하회(음)

후열: 오독교(수), 신수궁(수), 당문(수)

이 진형은 아주아주 좋은 편입니다~ 오독교와 당문의 직업은 다르지만, 둘 다 '맹독 중첩'으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면 적군에게 높은 맹독 중첩 피해를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해 범위도 넓으며 지속적으로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수궁이라는 공격형 보조도 있어 지속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고 금산파, 천하회 2명의 협객이 전열에서 피해를 막아주기 때문에 맹독 중첩할 시간을 충분히 벌어줄 수 있어 적군을 천천히 괴롭히면서 처치할 수 있습니다~

📌추천 진형3

전열: 금산파(음), 천하회(음)

후열: 화간파(목), 구려(목), 태극문(목)

이 진형의 주력 공격 협객은 2명의 술사입니다. 구려와 태극은 모두 꽤 높은 광역 피해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광역 피해 능력을 보유한 금산과 함께 사용하면 순식간에 적군 진형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또한 금산, 천하회는 후열의 주력 및 보조 협객의 방패가 되어줄 수 있으며, 화간은 주력 공격 협객의 공격 효율을 대폭 상승시켜 적군 부대를 빨리 파괴할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추천 진형4

전열: 금산파(음), 천하회(음)

후열: 황진이(화), 항산파(화), 화산파(화)

이 진형은 공격, 방어 균형을 고루고루 갖춘 편입니다. 황진이의 광역 피해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초반에 적군 생명력을 낮춰줄 수 있어 적군 진영 진입이 가능한 화산파를 위해 좋은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근접 및 원거리 공격을 함께 사용하면 무적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반면 방어부분에서는 항산파의 광역 피해 감소 속성은 전열 협객이 더 오래 버틸 수 있도록 도와주며 후열도 생존능력 및 공격 효율성이 높습니다. 금산파와 천하회도 주력 공격을 하는 협객에게 좋은 공격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추천 진형5

전열: 금산파(음), 천하회(음)

후열: 사극(음), 자항교(양), 홍길동(양)

이 진형은 전반적으로 괜찮은 편입니다. 생존 능력이 좋은 금산파와 천하회가 전열에서 피해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금산파가 적군 전열 협객들의 생명력도 낮출 수 있어 사극과 천룡문에게 충분한 준비 시간과 좋은 공격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지속 능력이 뛰어난 자항교는 적군에게 높은 피해를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열이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적군의 돌진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3음 2양]의 협객 조합으로, 방어+30%, 피해를 받으면 내력 회복+25%, 치명타+15%의 음 속성 버프 효과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비급 추천

비급이라면 소소는 생명 추가와 방어 추가의 비급인 대승룡상공, 무상신공, 세수경 등을 금산파에 추천합니다.

절세 비급 우선 선택

대승룡상공, 무상신공, 세수경

전설 비급 다음 선택

벽사심경, 오악검법, 구전건곤

반응형

댓글